|
|

|
 |
상품에 대한 평가를 해보세요. 다른 고객님들께 아주 유익하고 소중한 정보가 될 수 있습니다.
상품평에 채택되신 분들께는 1,000원의 마일리지를 드립니다.
|
|

|
* 명리를 알면 운세가 보인다!
* 알기 쉬운 사주 운명학 기초지식!
* 운명을 개척하려면 명리학을 배워라!
저자 안종선은 풍수지리학자로서 풍수지리를 전문으로 하다가 명리학을 공부하기 시작하면서 명리학자로서 많은 상담을 하고 강의도 하면서 명리학을 널리 알리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저자는 제대로 배우려면 어렵게만 느껴질 명리학을 독자들이 조금이라도 쉽게 배울 수 있고 명리학이 해볼 만한 학문이라는 생각이 들게 하며 궁극적으로는 많은 것을 익히는 계단 역할을 하고 싶은 마음에 ‘성보 내 운명학 백서’ 시리즈를 준비했다.
1편 《술술 풀리는 명리학 입문 1》, 2편 《운명을 바꾸는 명리 쉽게 배우기》, 3편 《술술 풀리는 사주명리 입문》에 이은 4편 《술술 풀리는 운세 명리학 입문》은 명리학을 공부하는 근본적인 깨달음을 얻어 내 운명을 개척하는 데 기초가 되는 육친, 명궁, 용신, 격국은 물론 근묘화실, 12운성, 12신살을 다루었다. 내가 누구인지, 내 운세는 어떤 방향으로 펼쳐질지 알고 싶을 때 이 책을 펼쳐보면 길이 보일 것이다. |
|

|
* 명리는 나를 파악하는 것!
* 명리학은 본인의 천성, 성격, 기질, 적성을 알게 해준다!
* 재물운, 직장운, 교육운, 양육운 등도 알게 해주는 명리학!
인간은 사회적 동물이라는 말도 있듯이 사람들은 살아가면서 어떤 식으로든 사회생활을 한다. 이때 자신의 사주를 구성하는 여덟 글자를 통해 인간관계, 능력을 발휘할 기회의 시기와 유무를 깨달을 수 있다.
쓸데없이 욕심을 낸다고 해서 지위가 얻어지는 것도 아니고 재물이 모이는 것도 아니듯이 재물관계, 직장관계, 교육관계, 양육관계 등과 같은 인간 만사를 스스로 깨우쳐야 개척할 수 있다. 이 모든 것을 깨닫고 개척하게 해주는 것이 바로 명리학이다. 내 운명에서 가장 효율적인 길이 어느 것인지, 내가 갈 수 있는 길의 범위가 어디까지인지 명리를 보면 알 수 있다.
* 운명과 사주팔자의 궁금증을 풀어주는 명리학 필독서!
* 명리학은 부모, 형제자매, 배우자와 관련된 덕의 유무를 알 수 있다!
명리학은 자신에 대해 많은 것을 알 수 있게 해준다. 자신이 모르던 것을 스스로 깨닫게 해준다. 본인의 천성, 성격, 기질, 적성, 부모와 형제자매는 물론 배우자와 관련된 덕의 유무를 알 수 있다. 형제 사이가 나쁜 이유를 알 수 있으며, 부모가 자신을 도와주지 않는 이유가 사주를 구성하는 여덟 개 글자에 들어 있다.
이 책에서는 먼저 사주원국에 들어 있는 여섯 친족인 육친을 해석하는 방법과 육친별 특성, 성격을 담았다. 사주의 꽃이라는 근묘화실의 의미를 분석하고 12운성과 12운성 보는 법, 12신살과 12신살 보는 법을 설명했다.
월지와 일지에 따라 적용이 달라지는 명궁의 월 판단과 지지 산출법, 명궁의 천간과 해설법을 알아보고 용신이 필요한 이유와 용신 잡는 법을 담았다. 격국과 격국론의 이해, 팔정격과 종화격을 알아보고 신살론에서는 길신과 흉살을 자세히 정리했다.
내 운세를 알고 싶어서 명리학 고수나 명리학자 등에게 찾아갈 수 있지만 내가 원하는 대답을 시원하게 들을 수 없는 경우가 많다. 그들이 풀어낸 내 운세가 맞는지도 확신할 수 없다.
따라서 내가 먼저 그들의 말이 옳은지 판단할 수 있는 것이 중요하다. 다른 사람에게 문의해서는 내 운명을 개척할 수 없기 때문이다. 그들 말만으로는 운명이 전개되는 상황만 알 수 있을 뿐이다.
하지만 내 운명을 스스로 개척하고 싶다면, 세세하게 자기주도적으로 설계하고 싶다면 먼저 내가 나 자신을 철저하게 알아야 한다. 나를 알기 위해 명리학을 공부하려고 할 때 이 책이 훌륭한 길잡이가 될 것이다.
◎ 차례
들어가는 글
1장 육친의 세부적 이해
1. 육친이란
2. 육친의 이름 붙이기
3. 육친의 해석
4. 천간육친 조견표
5. 지지육친 조견표
6. 천간지지육친 조견표
7. 육친별 특성과 성격
2장 근묘화실
1. 《연해자평》의 의미 분석
2. 근묘화실 각 주의 의미
3장 12운성
1. 12운성이란
2. 12운성 조견표
3. 12운성 해설
4. 12운성 보는 법
4장 12신살
1. 12신살이란
2. 12신살 조견표
3. 12신살 해설
4. 12신살 보는 법
5장 명궁
1. 명궁이란
2. 명궁의 월 판단
3. 지지 산출법
4. 명궁의 천간
5. 명궁 해설법
6장 용신
1. 용신이 필요한 이유
2. 용신을 잡아라
7장 격국
1. 격국이란
2. 격국론의 이해
3. 팔정격
4. 외격
5. 종화격
8장 신살론
1. 길신
2. 흉살
참고문헌
◎ 지은이 소개
* 晟甫 안종선
강원도 화천 출생으로 오래도록 책 쓰는 일과 운명학에 미쳐 있다.
광운대학교 경영대학원에서 서비스경영을 배우고, 한국항공대학교 대학원에서 항공경영 박사과정을 수료하였으며, 이후 기업컨설팅 업체에서 활동하였다.
지난 10여 년 동안 종린(宗燐)이라는 필명으로 활동하며, 200여 권 이상의 시대물, 전쟁소설 《산을 미는 강》, 영화소설 《천사몽》과 《마지막 위안부》 외에도 판타지소설, 퓨전소설, 시집 등을 저술하였으며, 번역가로도 활동하고 있다. 또한 전국을 여행하면서 풍수지리에 몰입하였다.
2000년부터 경민대학교, 서일대학교, 경북교통연수원, 남양주시농업기술센터 그린농업대학, (재)경상북도경제진흥원 등 각종 학교와 국영, 지방, 공공기관에서 강의하는 한편, 다양한 기업의 풍수컨설팅을 지원하고 있다.
저서로는 《술술 풀리는 명리학 입문 1》, 《운명을 바꾸는 명리 쉽게 배우기》, 《술술 풀리는 사주명리 입문》, 《술술 풀리는 운세 명리학 입문》, 《풍수 수납 운명을 바꾸는 정리》, 《풍수 인테리어 운명을 바꾼다》, 《전통의 문화 음택풍수》, 《삶의 터전 양택풍수》, 《경영자 풍수》, 《기를 부르는 풍수 인테리어》 외 다수가 있으며, 현재 네이버 카페 <성보풍수명리학회>와 네이버 블로그 <성보의 풍수여행>을 운영하고 있다.
◎ 책 속으로
***
육친이란 달리 육친골육(六親骨肉)이라 표현하는데 부모, 형제, 배우자, 자녀를 말한다. 사주를 간명하면 이 여덟 글자에 육친의 존재가 모두 들어 있다. 사주를 풀어갈 때 육친과 자신의 일간 대입은 매우 중요하고 밀접한 관계다. 육친의 대입이 원활해야 올바른 간명이 이루어진다. 육친을 비교 분석하여 친밀한 것은 길명(吉命)이고 그렇지 않은 것은 좋지 않다. 육친에 따른 재관인식(財官印食)의 사길신(四吉神)이 육친에 해당한다. - 14쪽
***
근묘화실은 사주팔자를 적으면서 바로 해석이 가능하게 만드는 관법(觀法)에 해당한다. 격용(格用)에서는 별로 사용하지 않는 부분이기는 하다. 그러나 일부 학자나 연구가들은 가장 중요하게 사용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중요한 것은 사주를 적어 내려가며 그 흐름을 파악하기가 가장 용이한 기법이라는 점이다. - 81쪽
***
역마살은 돌아다닌다는 살이다. 인오술(寅午戌) 삼합(三合)이 기준이다. 어쩔 수 없이 움직여야 하는 상태이다. 말 그대로 말처럼 뛰어다니는 것이다. 여기저기 돌아다니기를 좋아하고 임기응변에 능하다. 해외로 나가면 길하다. 사업도 해외와 연계하라. 재능 또한 뛰어나다. 이사나 자리 변동이 많고 여행이나 출장 등도 빈번하다. - 182쪽
***
명궁(命宮)이라는 글자가 말해주듯 목숨이 들어가는 집이라는 의미가 있다. 달리 태양궁(太陽宮)이라고 하거나 월장(月將)이라는 말로 표현하기도 한다. 태양궁이란 달리 풀면 일출(日出)이다. 사주팔자에서는 명궁에 해당하는 오행이나 육친이 존재한다고 한다. 또 이들이 좋은 역할을 하면 인생 흐름에서 길한 작용을 한다고 본다. 명궁은 명리학에서도 일부 사용하지만 풍수지리에서도 사용하는 이론이다. - 196쪽
***
용신(用神)은 사주의 꽃이다. “용신을 모르면 사주를 풀지 못한다”라고 극단적으로 말하는 경우도 있다. 용신이란 사주에서 간명할 때 가장 중요한 한가지로, 일간을 이롭게 하는 오행이 용신이다. 사주원국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8개 글자 사이의 중화(中和)인데, 용신은 사주의 중화를 위해 사용한다. 다시 말하면 나를 의미하는 일간(日干)을 편하게 해주거나 지나침을 막아주고 도와주는 오행이다. - 211쪽
***
흔히 격국은 정격(正格)과 외격(外格)으로 구분한다. 이는 어찌 보면 구별법에 불과할 수도 있다. 그러나 예부터 이리 불러왔고 이렇게 구분되어왔으니 우선 정법을 따를 수밖에 없다. 격국의 종류에 따르면 격국을 나누는 방법도 여러 가지가 있으나 일반적으로 크게 내격과 외격으로 나누며 외격 또한 전왕격(專旺格), 종격(從格), 종화격(從和格), 화기격(化氣格) 등으로 크게 나누고 그외에 여러 가지 특수한 격으로 나누기도 한다. - 231쪽
***
사주를 풀어감에 신살은 플러스 알파적 요인이다. 주가 되는 이론이 되기에는 부족하다. 사주팔자의 원국을 먼저 살펴야 한다. 오행 구성을 살펴야 한다. 따스함과 차가움을 살펴야 한다. 합과 형충파해를 먼저 살펴봄이 옳다. 신살을 보조적으로 해석할 뿐이지 주된 해석이 될 수 없다. 혹자는 신살을 지나치게 강조하여 사람을 주눅 들게 한다. 그렇다면 무속적인 해석이 된다. 신살이 있다는 말을 듣고 겁먹을 필요가 없다. 특히 삼재라는 말에 겁먹을 이유가 전혀 없다. 신살은 가벼운 사건·사고라고 판단하라. 혹은 때때로 속상한 일이 생긴다는 정도로 파악하라. - 277쪽
***
도화살이란 일지를 기준으로 해당 오행이 있을 경우에 도화살이 끼었다고 본다. 자오묘유(子午卯酉)이다. 도화살과 홍염살은 인기살이다. 도화살이 있으면 색을 좋아하고 끼가 많으며 대체로 음란하다. 가끔 도화살은 년지를 함께 보기도 한다. 달리 최근에는 인기살의 일종으로 보기도 한다. 사람들에게 인기가 많고 어디서나 돋보인다. - 293쪽 |
|
|
|
|
|